반응형
기존 알뜰교통카드 제도를 개선하여 24년 5월부터 'K-패스'를 도입한다고 합니다. 어떤 혜택이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
K-패스란?
K-패스는 월 21회 이상 정기적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, 지출금액의 일정비율(이용계층에 따라 20~53%)을 월 최대 60회까지 적립하여 다음 달에 돌려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입니다. 대상자에 따라 일반(20%), 청년(30%), 저소득층(53.3%) 환급해 줍니다.
일반 | 청년(만 19~34세) | 저소득층 | |
환급률 | 20% | 30% | 53.3% |
1회 대중교통 요금 (1,500원 가정 시) |
21만 6000원 (300원 x 60회 x 12개월) |
32만 4000원 (450원 x 60회 x 12개월) |
57만 6000원 (800원 x 60회 x 12개월) |
2,000원 | 28만 8000원 | 43만 2000원 | 77만 400원 |
3,000원 | 43만 2000원 | 64만 8000원 | 115만 2000원 |
K-패스 VS 알뜰교통카드
기존에는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했었는데요, 알뜰교통카드의 단점을 보완한 것이 K-패스입니다. 알뜰교통카드는 보행, 자전거 등으로 이동한 거리에 비례하여 마일리지(최대금액 고정)를 적립하는 카드입니다. 알뜰교통카드는 별도의 모바일 앱이 활용되어 다소 불편했었습니다. 알뜰교통카드는 24년 7월 폐지되면서 'K-패스'가 도입될 예정입니다.
구분 | 알뜰교통카드(24년 폐지예정) | K패스 | |
월 적립 횟수 | 15~60회 | 21회~60회 | |
적립률 1,500원 기준 |
일반 | 250원(17%) | 300원(20%) |
청년 | 350원(23%) | 450원(30%) | |
저소득 | 700원(47%) | 800원(53.3%) |
K-패스 신청방법 & 이용방법
K-패스 신청방법
- 전국형 교통카드 발급받기 : 선불, 후불 교통카드 가능
- K-패스 앱을 다운로드 한 뒤, 전국형 교통카드와 연동
선불 교통카드 종류 | |||
T-money | Cashbee | Hanpay | Mybi |
K-패스 이용방법
- 대중교통 이용 시 전국형 교통카드를 연동하면 K-패스 앱을 통해 적립
- K-패스 앱에서 적립금 확인 가능
- K-패스 앱에서 적립금을 교통카드 충전, 모바일 상품권 교환, 기부 중에서 선택
기존의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던 이용자는 K-패스가 출시되면 자동으로 전환될 예정입니다.
[서울, 인천] 기후동행카드 알아보기 (feat. 대중교통 무제한)
대중교통을 한 두 번씩 타다 보면 비용도 만만치 않게 드는데요, 매일 대중교통을 타야 하시는 분이라면 더욱 느끼실 것 같습니다. 서울시에서 시민들의 대중교통비를 줄여줄 '기후동행카드'를
modengssi.com
반응형
'다양한 제도를 알아보는 공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청년후계농 영농정착지원사업 알아보기 (0) | 2024.01.06 |
---|---|
올림픽 공원 주차 요금, 주차 할인, 주차장 위치 (0) | 2024.01.05 |
도시가스 절약 방법 7가지 정리(feat. 겨울철 난방비 폭탄 막기) (0) | 2024.01.02 |
도시가스비 현금으로 돌려받기(ft. 도시가스캐시백) (0) | 2023.12.31 |
주택청약종합저축 장기 가입자 혜택(ft. 배우자, 미성년자 해당) (0) | 2023.12.30 |